JS Dev Blog
프로그래머스 - N으로 표현 본문
문제 설명
아래와 같이 5와 사칙연산만으로 12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.
12 = 5 + 5 + (5 / 5) + (5 / 5)
12 = 55 / 5 + 5 / 5
12 = (55 + 5) / 5
5를 사용한 횟수는 각각 6,5,4 입니다. 그리고 이중 가장 작은 경우는 4입니다.
이처럼 숫자 N과 number가 주어질 때, N과 사칙연산만 사용해서 표현 할 수 있는 방법 중 N 사용횟수의 최솟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하세요.
- N은 1 이상 9 이하입니다.
- number는 1 이상 32,000 이하입니다.
- 수식에는 괄호와 사칙연산만 가능하며 나누기 연산에서 나머지는 무시합니다.
- 최솟값이 8보다 크면 -1을 return 합니다.
5 | 12 | 4 |
2 | 11 | 3 |
예제 #1
문제에 나온 예와 같습니다.
예제 #2
11 = 22 / 2와 같이 2를 3번만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습니다
풀이
def solution(N, number):
# example N=5, number = 12, return 4
if N==number or N==0: # corner case, N==number 일 경우, N이 0일때 나눗셈 하는 경우 방지
return 1
d = [[] for _ in range(10)] # 얕은 복사 안되도록, N 최대값만큼 생성. d = [] * 10 으로 생성하면 같은 주소값 가르켜서 안됨.
d[0] = [N] # 1개만 사용할 경우
d[1] = [N*11, N+N, N-N, N//N, N*N] # 2개 사용할 경우
if number in d[1]: # d[1]이 답일 경우 special case
return 2
for i in range(2,8): # 문제에서 return값 최대를 8까지로 명시했으므로 8까지 반복.
num=N
temp=i
while temp>0:
num+= 10**temp*N # 555, 5555 등의 연속된 수 num 만들기
temp-=1
d[i].append(num) # 555, 5555 추가
for l in range(i):
for j in range(len(d[l])):
for k in range(len(d[i-l-1])):
if d[l][j] + d[i-l-1][k] not in d[i]: # d(4) = d(3)+d(1) , d(2)+d(2) 모든 경우의수
d[i].append(d[l][j] + d[i-l-1][k])
if d[l][j] * d[i-l-1][k] not in d[i]:
d[i].append(d[l][j] * d[i-l-1][k]) # d(4) = d(3)*d(1), d(2)*d(2)
if d[l][j] - d[i-l-1][k] not in d[i]:
d[i].append(d[l][j] - d[i-l-1][k]) # 빼기, 나누기는 d(3)-d(1)과 d(1)-d(3)이 다른 값이기 때문에 순서 바꿔서 계산해줘야함
if d[i-l-1][k] - d[l][j] not in d[i]: # ex) 55-5 != 5-55
d[i].append(d[i-l-1][k] - d[l][j])
if d[i-l-1][k] != 0:
if d[l][j] // d[i-l-1][k] not in d[i]:
d[i].append(d[l][j] // d[i-l-1][k])
if d[l][j] != 0:
if d[i-l-1][k] // d[l][j] not in d[i]:
d[i].append(d[i-l-1][k] // d[l][j])
if number in d[i]:
return i+1
return -1
TIL
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은 큰 문제를 어떻게 작게 쪼갤지를 결정해야함. 이 문제는 "최솟값이 8보다 크면 -1을 return 합니다."라는 조건이 있기 때문에 가장 작은 조각부터 쌓아올라가는 Bottom-up 방식으로 풀었다. 아마 9를 넘어가면 실행시간이 기하급수적으로 커져서 일부러 상한선을 정해준 듯 하다.
d(N) = d(1) + d(N-1) , d(2) + d(N-2) ...
이런 식으로 사칙 연산에 대해서 모든 결과값의 조합을 계산해야 한다. 특히 빼기나 나눗셈 연산은 앞 뒤 순서가 바뀌면 결과값도 완전히 다르게 나오기 때문에 순서도 바꿔서 계산해 줘야 한다.
그리고 파이썬의 얕은 복사에 대해서 몰라서 배열 선언하는 부분에서 애를 먹었다.
잘못된 방법
d= [] * 3
print(d) # [[],[],[]]
d[0].append(1)
print(d) # 예상값 == [[1],[],[]] 출력 값 == [[1],[1],[1]]
Python에서 * 연산자를 이용해서 배열을 선언하게 되면 얕은 복사(Shallow copy)가 된다. 즉 배열 내의 요소들이 같은 객체를 가리킨다. 따라서 이 방식으로 2차원 배열을 선언하고 요소에 접근하면 다른 요소들의 값도 같이 바뀐다.
올바른 방법
d = [[] for _ in range(3)]
d[0].append(1)
print(d) # [[1],[],[]] expected value
'Development > Algorith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Quick Sort (0) | 2022.04.21 |
---|---|
삽입 정렬(Insertion Sort) (0) | 2022.04.15 |
Graph Search BFS / DFS (0) | 2022.04.07 |